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추진배경 - 제주의 거점 공공의료기관 및 국립대학병원으로서 교육과 진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공공의료강화 및 각종 전염병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중증환자 및 내원객이 증가하여 교육 및 진료공간 부족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에 도달 - 임상실습 학생 및 전공의들을 위한 교육시설 확보, 중증환자증가로 인한 중환자실 증설 및 응급의료센터 증축, 감염병 위기 대응 시설 등 진료시설 확보를 통해 상급종합병원을 지향하고 제주의료자치 실현을 위함. ○ 추진기간 : 2021. 1. 1. ~ 2024. 12. 31. ○ 총사업비 : 40,693백만원(국고 25%, 자부담 75%) - 공사비 : 36,729백만원 - 설계비 : 1,642백만원 - 감리비 : 2,237백만원 - 시설부대비 : 85백만원 ○ 주요내용 - 공사위치 : 병원 부지 내(병원동 동측 구간) - 공사면적 : 12,400㎡ - 공사내용 : 별동 증축(지하3층 ~ 지상4층)
제주대학교병원○추진배경 - 제주지역 암환자 발생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조기검진 확대, 치료 기술의 발전에 의해 암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되어 제주도내 암생존율 지속적 상승에 따른 암생존자 수 증대 - 암 치료 후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치료 이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어려움, 일상생활 복귀에 대한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들을 호소 - 암 치료 후 건강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 부재로 인해 혼란을 야기 - 교육 및 상담, 정보제공을 통해 암생존자의 자가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켜 일상에서의 회복력을 증대시키고 건강 유지 및 건강증진 기대 및 자기 만족감 충족으로 삶의 질 향상 도모 ○ 추진기간 : 2017년 7월 ~ 현재 ○ 총사업비 :200백만원 (국비 50%, 지방비 50%) ○주요내용 - 암생존자 등록 및 상담, 교육, 사회복지 상담 및 정보제공, 암생존자 진료 연계, 지역사회 교육, 보건 전문인력 교육, 홍보 사업 등
제주대학교병원○추진배경 - 국내 사망원인 1위인 암에 대한 국가차원의 암관리 필요성 인식 - 암환자의 서울 등 수도권 집중현상 완화를 통한 접근성 향상 및 사회경제적 비용절감 필요 - 종합적인 암관리를 통한 암발생, 암사망의 최소화로 암부담의 획기적 감소 ○ 추진기간 : 2006년 ~ 현재 ○총사업비 : 263,700천원 - 196,700천원 (국비50%) 도비 50%), 자비:67,000천원 ○ 주요내용 : 지역암관리사업, 국가암검진사업, 암예방 홍보사업, 지역사회 교육사업, 지역특성화사업,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 암등록 통계조사사업 등의 기획 및 시행
제주대학교병원ㅇ 추진배경 - 지난 5년간 난청으로 진료 본 제주지역의 환자 수 매년 증가 추세 - 제주지역은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시설 및 진료복지체계가 미흡하고, 청각장애아동에 대한 조기중재 및 재활을 위한 통합관리체계가 부재 - 제주지역의 통합적인 지역사회 내 재활지원 시스템 구축 및 사회적 안전망 네트워크 구축 필요 ㅇ 추진기간 : 2019년 12월부터~ ㅇ 총사업비 : 70,000천원(2021년) ㅇ 주요내용 - 청각언어 재활치료 및 청능재활 프로그램 운영 - 사회적응 재활프로그램 운영 - 자문회의 - 부모교실 - KT꿈품교실 대상자 청각검사 지원 - 난청아동 보청기 지원 - 지역 유관기관 협의회
제주대학교병원○ 추진배경 - 진료연구동 증축을 통해 늘어나는 외래교수 연구실 확보 ○ 추진기간 : 2020. 3. 3. ~ 2022. 2. 28. ○ 총사업비 : 4,389백만원(자체예산) - 공사비 : 3,928백만원 - 감리비 : 256백만원 - 인.허가비 등 : 205백만원 ○ 주요내용 - 공사위치 : 병원 부지내 진료연구동 2~4층 - 공사면적 : 1,449.95㎡ - 공사내용 : 기존 건축물 수직(5층) 및 수평 증축(2~5층)
제주대학교병원○추진배경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제7조제2항6호에 따라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정서적 안정을 촉진하고, 정신의학적 치료 서비스 이용 증진과 함께 지역사회 자살예방기관 연계를 통해 자살시도자의 치료 진입률을 높이고 자살 재시도율을 줄여 자살을 예방 ○추진기간 : 2013.06.01. ~ 현재 ○총사업비 : 90백만원 ○ 주요내용 - ‘사례관리팀-응급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지역사회(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자살예방센터 등)’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자살시도자에 대한 심리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제주대학교병원○추진배경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18.10)」발표에 따라 원내·외 필수의료 분야별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국립대병원-지방의료원-병·의원-보건소 등의 전달체계 구축 및 협력사업 추진을 목표로 함 ○추진기간 : 2019.02.~ ○총사업비 : 530백만원 ○ 주요내용 1.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 - 대상자 : 뇌혈관 질환- 증상 발생 후 7일 이내에 응급실로 입원한 급성 뇌졸중 환자(I60~I63 진단명) - 대상자 의료·경제·사회적 평가 및 상담 - 다학제팀(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퇴원계획 수립 - 퇴원환자의 복귀 유형(재가, 재활, 요양 등)에 따라 맞춤형 의료보건복지 서비스 연계 - 지속적 사례 관리 모니터링 수행 2. 중증응급 이송·전원 및 진료협력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를 활용한 제주도 내 중증·응급 환자 이송체계 구축 - 제주도 내 응급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유 시스템 적용 - 지역책임의료기관과의 응급환자 Vital 데이터 실시간 전송 시스템 운영 3. 감염 및 환자안전 관리 - 감염관리를 위한 제주시 지역 내 요양병원 대상 병원감염관리 컨설팅 - 지속적 모니터링, 컨설팅 제공을 위해 책임의료기관과 요양병원 네트워크 구축 4. 지역보건의료기관 인력 대상 교육 및 기술지원 - 도내 보건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 강좌 개최 및 기관 방문 교육 진행 - 필요시 1:1 맞춤형 실무 교육 수행
제주대학교병원○추진배경 :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본원의 강점을 이용한 의료관광 상품 패키지 개발을 통한 외국인환자유치 활성화를 목표로 함. ○추진기간 : 2021. 01. ~ 2021. 12. ○총사업비 : 30,000천원 ○ 주요내용 - 다양하고 특화된 의료관광 상품 개발 -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전문유치업체,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 의료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활동 - 제주메디컬지원센터 운영 / 중국 의료단지조성 사업추진
제주대학교병원○ 추진배경 - 만성질환 치료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들의 학업 연속성 유지 및 학습권 보장 - 개별화된 학습지원, 심리·정서적 지원 등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 도모 및 삶에 대한 희망과 용기를 심어주어 치료 효과 증진 ○추진기간 : 2015. 03 ~ 현재 ○ 총사업비 : 4,415천원 ○ 주요내용 - 병원학교 운영 및 행사지원
제주대학교병원○ 추진배경 -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1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16~2020)」에 따라 지역 내 공공보건의료 이용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여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사업 수립 필요 - 「공공보건의료발전 종합대책(2018.10.1.)」, 「지역의료강화대책(2019.11)」,「공공의료체계 강화 방안(2020.12.13.)」발표에 따라 국립대병원의 포괄 적 책임 및 요구 증가 -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21~2025)」수립 예정 ○추진기간 : 2019년 1월~ ○총사업비 : 의료사회사업비 자부담 495,067천원(2021년도 예산) ○주요내용 -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 실행과제에 따른 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 -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보건의료 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실적 지원 - 사회공헌 네트워크협력사업 - 정부 및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보건의료 정책 지원 및 수행
제주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