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장애인 및 보호자,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국가유공자 및 보훈대상자에게 발급되며, 대중교통 무임할인, 문화체육시설 이용할인, 각종 요금혜택 등을 제공하는 신분증
한국조폐공사국내에 체규라고 있는 외국인이 입국한 날로 90일을 초과하여 체류하는 자,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하고 외국국적을 취득하였거나 우리나라에서 출생한 외국인 등이 체류자격을 부여받아 그 날로부터 90일을 초과하여 체류하는 자에게 발급되며 국내 체류하는 외국인의 체류지, 체류목적, 체류기간, 근무처 등을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함임
한국조폐공사화폐 및 ID 제조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다년간 축적된 COS 기반의 보안모듈 기술과 공공진본성 중심 서비스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산업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보안모듈 사업을 통해 스마트그리드, IoT, 스마트홈, 공공, 국방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보안모듈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한국조폐공사만 9세이상 18세 이하 학생포함 모든 청소년에게 발급되며, 대중교통, 문화체육시설 이용 시 할인혜택 제공 및 자격시험용 신분증으로 사용 가능
한국조폐공사한국조폐공사의 위변조방지 기술을 바탕으로 공신력과 품질관리 역량을 통한 KRX금시장의 품질인증기관으로서 완벽한 품질인증으로 금 거래 질서 확립 및 지하경제 양성화에 기여하고 귀금속 산업발전 기반에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공사는 금지금 업체의 사업장 평가를 통한 적격생산업체인증, 공인시험기관 분석능력을 활용한 품질평가(성분분석)를 통해 금지금의 품질인증, 금 현물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에 위변조방지요소를 표지하여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
한국조폐공사한국조폐공사는 1970년 수출이래 지금까지 전 세계 30여개국에 주화, 은행권, 보안용지, 여권, NID카드, 특수잉크, 안료, 기념메달 등을 수출하고 있음 또한 수출품목 다양성 확보를 통한 수출국가 확대를 위해 보안잉크를 비롯한 전자주민증과 같은 최첨단 보안제품으로부터 부가가치가 높은 은행권 제조 기술수출은 물론, 반제품 및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까지 수출품목을 확대하고 있음
한국조폐공사주민등록증은 만 17세 이상 호적과 병적이 확인된 자에게 주민등록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신분증으로 시군구청장이 발급한다. 국민들은 전국 1천여개의 읍면동에서 발급 신청할 수 있다
한국조폐공사국민들이 해외 출입국시 사용하는 국제신분증으로 외교부장관이 발급하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 규격에 맞는 전자여권을 발급하고 있음 전자여권은 외교관, 관용, 일반여권으로 3가지 종류로 나눠지며 국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여권은 초록색의 일반여권이다. 공사가 제조하는 전자여권의 보안요소는 18가지 정도가 적용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뛰어난 보안성을 자랑한다.
한국조폐공사나라 경제 흐름의 중요한 매개체인 은행권의 제조는 최신 인쇄시설을 보유한 화폐본부에서 인쇄, 검사 및 완공에 이르는 전 과정이 철저한 보안과 품질 및 계수 확인 하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폐의 액면체계는 [1, 5] 체계이며, 권종 수는 70년대 초까지 8종(500, 100, 50, 10, 5, 1원권 및 50, 10전권)에 달하였으나 점차 감소하여 현재는 4종(1,000, 5,000, 10,000, 50,000원권)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디자인이 모두 새롭게 바뀌고 각종 첨단 위변조 방지요소가 적용된 새 은행권(2006년 1월 오천원권, 2007년 1월 만원권 및 천원권)에 이어 2009년 6월에는 역사상 처음으로 고액화폐인 오만원권이 발행된 바 있음 우리나라 주화의 현재 6종(1, 5, 10, 50, 100, 500원)이 발행되고 있으며, 1원화 및 5원화는 유통주화세트 목적으로만 발행되고 있음
한국조폐공사한국조폐공사는 무궁화 대훈장을 비롯한 12종의 훈장을 제조하여 정부에 공급하고 있으며 사회 각 분야별 세분화 된 훈장은 무궁화 대훈장을 제외하고는 각 5등급으로 나워서 생산하고 있음
한국조폐공사